중국어를 어떻게 부르는게 맞을까요?-중국어 명칭에 대해서 백유리 선생님

중국어를 어떻게 부르는게 맞을까요?-중국어 명칭에 대해서

중국어 이야기 중국어를 어떻게 부르는게 맞을까요? 중국어 명칭에 대해서     영어, 한국어, 일본어 등 각 언어는 그 언어의 명칭이 있습니다. 그런데 중국어는 어떤가요? 중국에서 사용하는 말이니까 당연히 중국어라고 부르는 게 맞는 거 같은데, 또 다른 많은 이름들이 있지요? 보통화, 만다린, 켄토니즈 등등…… 오늘은 이 명칭들에 대해서 한 번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우선 우리가 중국어라고 부르는 것은 가장 큰 범위의 명칭입니다. 중국에서 사용되는 모든 종류의 언어를 지칭하는 말이지요. 그러므로, 각 지역의 방언 또한 중국어에 포함됩니다. 지난 번에 중국은 한족과 55개 소수민족으로 이루어진...
阅读全文
한족과 55개의 소수민족-중국 소수민족에 대해서 백유리 선생님

한족과 55개의 소수민족-중국 소수민족에 대해서

중국 문화 이야기 한족과 55개의 소수민족 중국 소수민족에 대해서   오늘은 중국의 소수민족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한국은 단일민족, 한민족이라는 말로 많이 들 이야기 하지요? 중국의 경우 총 인구 약 13억 중 92%인 한족(汉族)를 제외하고도 무려 55개의 소수민족으로 이루어진 다민족 국가입니다. 참 많죠? 우선 아래 표를 통해 확인해 보실까요? 이렇게 55개의 소수민족은 만족(满族)과 회족(回族)이 한어(汉语)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모두 각자의 언어를 가지고 있고, 특히나 몽고족(蒙古族)와 위구르족(维吾尔族)등 21개의 소수민족은 여전히 그들 고유의 문자를 사용하고 있다고 합니다.   중국이 급격한 발전과 현대화를 거치면서 많은 불평등을...
阅读全文
灵隐寺와 河坊街 - 주말 항주 여행기 백유리 선생님

灵隐寺와 河坊街 – 주말 항주 여행기

중국 문화이야기 灵隐寺와 河坊街 - 주말 항주 여행기     오랜만에 나들이를 준비했습니다. 홍챠오 기차역에서 한 시간 정도 떨어진 항주, 교통이 편리해지면서 상해와도 참 가까워진 곳이지요. 5분 차이로 원래 예매했던 기차를 놓치고, 결국은 가장 빠른 다음 기차를 타야 했습니다. 여기는 입석표가 참 많습니다^^ 한가지 팁을 드리자면, 외국인은 꼭 창구에서 표를 받아야 하는데, 1층보다는 안전검사를 하고 2층으로 들어가 표 사는 곳으로 가서 줄을 서면 훨~씬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답니다. 우리의 목적지는 灵隐寺(líng yǐn sì), 동진시대인 326년 인도 승려가 항주에 왔다가 이 곳 산세가 매우...
阅读全文
‘二’과 ‘两’ 그리고 양사 이야기 백유리 선생님

‘二’과 ‘两’ 그리고 양사 이야기

중국어 문법 이야기   ‘二’과 ‘两’ 그리고 양사 이야기   숫자 2, 여러분은 어떻게 읽으시나요? 어떤 때는 ‘二(èr)’, 또 어떤 때는 ‘两(liǎng)’이라고 읽는 것을 이미 다 알고는 있으나, 어떤 규칙을 가지고 있는지는 잘 모르시겠죠? 그에 앞서 알아야 하는 게 바로 중국어의 ‘양사’입니다. 양사란 사물이나 동작을 세는 단위를 나타내는 단어로, 한국어의 단위명사와 비슷한 성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현대 중국어에서 수사(数词),지시대사(指示代词), 의문대사(疑问词) 등에는 명사가 바로 올 수 없으며, 반드시 그 명사의 성질에 맞는 양사를 사용해야 합니다. 一个人    一个星期    那本书    这瓶饮料    哪个地方 이처럼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阅读全文
중국어 문법 이야기-중국어 품사 백유리 선생님

중국어 문법 이야기-중국어 품사

중국어 문법 이야기   중국어 품사 언어를 학습하다 보면 항상 그 언어 자체가 어려워서 이해가 어려운 경우도 있지만, 사용되는 용어들이 나를 곤란하게 하는 경우들이 있을 텐데요. 오늘은 그런 용어에 대해서 한 번 정리해 볼까 합니다. 우리가 10년이상 영어공부를 하면서 수도 없이 들었던 명사, 대명사, 동사, 형용사가 바로 ‘품사’입니다. 아래는 중국어에서 사용하는 품사관련 용어 및 설명과 관련된 표입니다. 익숙하지 않은 품사의 이름이 몇 개 있습니다. 양사, 개사, 조사, 연사. 양사는 한국어의 단위명사에 해당 하는 품사로,  ‘个’,  ‘斤’,  ‘条’ 등이 가장 흔히 쓰이고 있습니다....
阅读全文
三十年河东,三十年河西 변화 무쌍한 요즘, 10년이면 강산도 변한다. 백유리 선생님

三十年河东,三十年河西 변화 무쌍한 요즘, 10년이면 강산도 변한다.

중국이야기 – 명언 三十年河东,三十年河西 변화 무쌍한 요즘, 10년이면 강산도 변한다.   제가 처음 상하이에 왔을 때, 그때는 아마 지금 우리와 너무도 익숙한 위챗(微信)이 없었습니다.   당시 스마트 폰이 없었던 저는 한자로 문자메세지를 보내는게 참으로 힘들었던 것 같습니다. 얼마지나지 않아, 스마트폰의 보급이 급속화되고, 제가 중국에 온지 2년 정도 지날 무렵 바로 위챗이란 것을 알게 된 것입니다. 그리고  너무도 빠르게 일상해 되어버렸습니다. 사실 저 역시 휴대전화의 대부분은 메신저 사용 인 듯 합니다. 이렇게 빠른 변화를 우리말로는 ‘십년이면 강산이 변한다’라고 말하는데요. 이와 같은 표현이 중국어에도 있습니다....
阅读全文
중국 문화 이야기   老上海的冬天 백유리 선생님

중국 문화 이야기 老上海的冬天

중국 문화 이야기   老上海的冬天   제가 상하이에서 생활한지도 벌써 6년이 넘어가지만, 그 동안 이렇게 추운 겨울은 없었던 것 같습니다. 35년 만에 최고로 추운 겨울이라고 하네요. 오늘 집을 나서는데, 주차된 차들 유리마다 정말 예쁜 눈꽃들이 피어있더군요. 집에 보일러가 있는 가정은 그나마 좀 낫겠지만, 참 올 겨울 추위와 싸우시느라 다들 고생이십니다~ 오늘은 老上海의 겨울에 대해서 이야기 해 보려 합니다. 한국의 겨울은 뜨끈한 온돌문화로 실내에서는 두꺼운 옷보다는 역시나 활동성을 중요시한 복장이지요? 그래서 제 주위의 중국 친구들이 많이 하는 말이, 한국 사람들은 겨울에 안에는 반팔입고,...
阅读全文
1시 45분 - 시간을 나타내는 법 백유리 선생님

1시 45분 – 시간을 나타내는 법

중국어 이야기   1시 45분 - 시간을 나타내는 법   여러분께서는 중국어 시간표현을 어떻게 공부하셨나요? 우선, 숫자를 공부해야겠죠? 숫자를 보고 거침없이 읽을 수 있으면, 그때 이제 시간, 분에 해당하는 중국어 단어를 배우게 되죠. 그리고 다음에 나오는 표현이 있습니다. ‘一刻’, ‘半’, ‘差’ 등을 사용한 시간 표현방법입니다. 이 부분, 책에서 나오면 ‘아아~ 그렇구나!’하고 이해하지만, 실제 사용은 참 안되시죠? 그럼 오늘 저랑 아래 4가지 표현만 외우시는 건 어떨까요?   一点四十五分钟 一点三刻 差十五分两点 差一刻两点   위 4가지 표현은 모두 1시 45분을 말합니다. 1번의 경우, 우리가 가장...
阅读全文
중국이야기 – 문법   부사 ‘就’와 ‘才’ 백유리 선생님

중국이야기 – 문법 부사 ‘就’와 ‘才’

중국이야기 – 문법   부사 ‘就’와 ‘才’   오늘 저는 집에서 오랜만에 디저트를 배달시켰습니다. 아시겠지만 중국에서도 App를 통해 모든 것을 해결 할 수 있지요. App에서 상점을 찾고, 메뉴를 선택하고, 그리고 결제까지 한 번에 다 해결했습니다. 참으로 친절하게 결제가 끝난 후 배달 예상시간이 오후 3시 50분임을 알려주더군요. 그리고 저는 커피를 한 잔 하기로 하고 물을 끓이고 커피콩을 갈았습니다. 그렇게 커피 한 잔이 다 내려졌을 때쯤, 초인종일 울리더군요. 그 때 시간은 오후 3시 35분이 조금 덜 된 시간이었습니다. 예상시간 보다 좀 더 빨리 도착한...
阅读全文
동지(冬至) - 한국과 중국의 동지 이야기 백유리 선생님

동지(冬至) – 한국과 중국의 동지 이야기

중국 문화 이야기   동지(冬至) - 한국과 중국의 동지 이야기   지난 12월 21일은 ‘동지(冬至)’였습니다. 중국과 한국 모두 음력 24절기의 문화를 가지고 있기에 그 문화나 습속은 다를지라도 동지가 가진 개념은 같지요. 동지는 일년 중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음력 24절기 중 22번째 절기입니다. 민간에서는 동지를 흔히 아세(亞歲) 또는 작은설이라 하였으며, 이는 태양의 부활이라는 큰 의미를 지니고 있어서 설 다음가는 작은 설로 대접했다고 합니다. 이는 여전히 지금도 예 말로 전해져 “동지를 지나야 한 살 더 먹는다.” 또는 “동지팥죽을 먹어야 진짜 나이를...
阅读全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