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의 신분으로 중국에서 나 혼자 살아가기도 벅찬데, 아이가 있으신 부모님들의 고민은 더 크실 거라고 생각됩니다. 정보도 부족하고, 여러 가지 환경이나 아이의 적응 능력 등 많은 것들이 걱정일 텐데요. 오늘은 상해의 한 사립 어린이 집의 탐방기를 작성해 볼까 합니다. 중국어나 영어를 못하는 한국인 4살 어린이가 상해에서 다닐 수 있는 유치원 찾기가 이번 저의 목표였습니다. 또한, 한국인이 거주하는 곳이 아닌 다른 지역을 기준으로 말이지요~ 우선 인터넷을 통해 국공립 및 사립 유치원 몇 군데에 전화문의를 한 결과, 모두다 거절의 답변을 들었습니다. 그 이유는, 외국인이고 언어소통이...

立夏
“立夏”的“夏”是“大”的意思,是指春天播种的植物已经直立长大了。 古代,人们非常重视立夏的礼俗。 在立夏的这一天,古代帝王要率文武百官到京城南郊去迎夏,举行迎夏仪式。君臣一律穿朱色礼服,配朱色玉佩,连马匹、车旗都要朱红色的,以表达对丰收的企求和美好的愿望。 宫廷里“立夏日启冰,赐文武大臣”。冰是上年冬天贮藏的,由皇帝赐给百官。 江浙一带,人们因大好的春光明媚过去了,未免有惜春的伤感,故备酒食为欢,好像送人远去,名为饯春。崔骃在赋里说:“迎夏之首,末春之垂。”吴藕汀《立夏》诗也说:“无可奈何春去也,且将樱笋饯春归。” 在民间,立夏日人们则喝冷饮来消暑。立夏日,江南水乡有烹食嫩蚕豆的习俗。有的地方还有立夏日称人的习俗。 在后世,立夏还有尝新等节日活动。如苏州有“立夏见三新”之谚,三新为樱桃、青梅、麦子,用以祭祖。在常熟,尝新的食物更为丰盛,有“九荤十三素”之说,九荤为鲫、咸蛋、螺鰤、熄(即放在微火上煨熟;一种烹调方法,用多种香料加工而成为熄鸡)鸡、腌鲜、卤虾、樱桃肉;十三素包括樱桃、梅子、麦蚕(新麦揉成细条煮熟)、笋、蚕豆、矛针、豌豆、黄瓜、莴笋、草头、萝卜、玫瑰、松花。在南通,则吃煮鸡、鸭蛋。 斗蛋游戏 那日中午,家家户户煮好囫囵蛋(鸡蛋带壳清煮,不能破损),用冷水浸上数分钟之后再套上早已编织好的丝网袋,挂于孩子颈上。孩子们便三五成群,进行斗蛋游戏。蛋分两端,尖者为头,圆者为尾。斗蛋时蛋头斗蛋头,蛋尾击蛋尾。一个一个斗过去,破者认输,最后分出高低。蛋头胜者为第一,蛋称大王;蛋尾胜者为第二,蛋称小王或二王。谚称:“立夏胸挂蛋,孩子不疰夏”疰夏是夏日常见的腹涨厌食,乏力消瘦,小孩尤易疰夏。 中饭是糯米饭,饭中掺杂豌豆。桌上必有煮鸡蛋、全笋、带壳豌豆等特色菜肴。乡俗蛋吃双,笋成对,豌豆多少不论。民间相传立夏吃蛋拄心。因为蛋形如心,人们认为吃了蛋就能使心气精神不受亏损。立夏以后便是炎炎夏天,为了不使身体在炎夏中亏损消瘦,立夏应该进补。嵊谚有旺生,寓人双腿也像春笋那样健壮有力,能涉远路,寓意拄腿。带壳豌豆形如眼睛。古人眼疾普遍,人们为了消除眼疾,以吃豌豆来祈祷一年眼睛像新鲜豌豆那样清澈,无病无灾。 (더 보기…)

중국어 얼화이야기-儿化에 대해서
20160712-중국어 얼화이야기 儿化에 대해서 중국어 발음을 처음 배울 때, 병음 읽는 법의 가장 마지막 순서가 대부분의 경우 儿化音(얼화음)과 관련된 내용입니다. 우리말에는 없는 발음이라 참 어색한 발음이지요. 불행 중 다행이도(?) 우리가 생활하는 상하이 지방에서는 이 儿化音이 많이 사용되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儿化현상은 사실 북경지역의 방언에서부터 비롯된 것이기 때문에, 남쪽보다는 북경을 중심으로 한 북쪽지역에서 많이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그럼 우리가 배우지 않아도 된다고요? 안써도 된다고 말하려고 하시나요? 절~대 아니랍니다. 대부분은 습관처럼 발음의 맨 끝에 ‘儿’을 붙여서 혀를 굴리는 발음을 하지만, 문법적인 기능을...

他正在等他爱人呢-동작의 진행과 관련된 표현방법
20160705_동작의 진행(正在~呢) 他正在等他爱人呢 동작의 진행과 관련된 표현방법 오늘은 ‘동작의 진행’을 나타내는 몇 가지 표현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우리에게 좀 더 익숙한 용어는 바로 영어에서 사용하는 ‘진행형’과 비슷하게 사용되는 개념이죠. 우선 중국어는 형태변화가 없는 언어입니다. 즉, 영어의 경우 동사 뒤에 ~ing가 붙어 그 진행을 나타내는 반면, 중국어의 경우에는 동사의 앞 혹은 뒤에 진행을 나타내는 다른 글자를 붙여 그 의미를 구체화하게 됩니다. 他正在等他爱人呢。 你在做什么? 我在看电视呢。 위 예문들은 모두 동작의 진행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어떤 공통점이 있는지 찾으셨나요? 바로, ‘正在~呢’가 사용되고 있는...

과일이야기(杨梅)-杨梅를 아시나요?
20160629 – 과일이야기(杨梅) 杨梅를 아시나요? 상하이의 장마는 참 한국의 장마와는 또 다른 느낌을 주지요? 비의 양도, 천둥번개도 개인적으로는 이곳이 더 많고, 심하게 느껴진답니다. 습해서 불쾌지수가 참 높아지기 일 수인 이런 장마철, 저를 즐겁게 하는 게 딱 하나 있습니다. 바로杨梅(y ángm ěi)! 매년 이 맘 때 쯤에만 맛 볼 수 있는 과일입니다. 우리나라에는 제주 일부 지방에서 소량 재배되고 있다고 하네요. 한국에서는 소귀나무 열매, 레드베이베리라고 합니다. 관련된 일화를 하나 소개해 볼 까 합니다. 중국 삼국시대의 유명한 장군 조조(曹操)가 군대를 이끌고 원정을 나갔을때의...

“三九欠东风,黄梅无大雨” – 梅雨季节(장마철)와 관련된 중국의 谚语(속담)
20160622 – 중국 문화 이야기 “三九欠东风,黄梅无大雨” - 梅雨季节(장마철)와 관련된 중국의 谚语(속담) 요즘 날씨는 상하이에서 꽤 오래 생활 한 저에게도 참 적응하기 힘든 날씨입니다. 바람 한 점 없이 답답하고, 습한 공기와 갑자기 억수같이 쏟아지는 비와 엄청난 굉음의 천둥번개는 매년 여름 겪지만 항상 놀라게 마련이지요. ‘장마철’에 해당하는 중국어는 ‘梅雨季节(měiyǔ jìjié)’입니다. 오늘은 바로 이 梅雨季节와 관련된 중국의 속담(谚语)에 대해서 소개해 볼까 합니다. “三九欠东风,黄梅无大雨” “三九”는 음력 1월 9~17일 사이를 지칭하는 말이고, “黄梅”는 망종(6월 6~20일)을 뜻하는 단어입니다. 이 말은, 三九 기간 동안 동풍이 적거나 불지...

角球가 뭔가요?-중국어의 외래어 표기법
20160614_중국어 특징 角球가 뭔가요? 중국어의 외래어 표기법 요즘 제 주변은 ‘유로 2016’ 이야기로 떠들썩 합니다. 저도 친구들의 분위기에 휩쓸려 함께 몇몇 중계를 보았는데요, 재미있는 것은 중국어로 중계를 보다 보니 참 재미있는 부분들이 있었다는 것입니다. 바로 중국어에서의 외래어 표기법 입니다. 중국어에서의 외래어 표기는 아래와 같이 크게 세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첫째, 음역(音译 yīnyì). 외래어의 소리가 들리는 데로, 그 발음을 비슷한 한자에 빗대어 사용하는 방법으로, 그래도 외국인이 중국어 외래어 학습 시 쉽게 받아들일 수 있는 표기법입니다. 축구 중계를 보면서 가장 어려우면서도 재미났던 점이...

중국문화이야기-중국의 단오이야기
20160531-중국문화이야기 중국의 단오이야기 몇 해 전, 한국의 단오가 유네스코에 지정되면서 한중 관계에 미묘한 긴장감이 흐르기도 했지요. 사실, 중국와 한국의 단오절은 이름과 날짜만 같은, 그 기원과 풍습이 모두 다른 개별적인 문화입니다. 오늘은 중국의 단오절에 대해서 이야기 해 보려고 합니다. 중국의 단오절의 기원은 중국 초나라 문인 굴원의 죽음과 연관이 있습니다. 우국충정이었던 굴원은 억울한 모함을 받아 귀향살이를 하게 되는데, 당시 초나라가 진나라에 망해가는 모습을 보며 통곡하다, 결국 스스로 멱라수로 뛰어들어 자살을 하게 됩니다. 이에 그를 따르던 많은 사람들이 대나무 잎에 곡물을 싼 후...

중국어 문법 이야기 ‘一点儿’과‘有点儿’
20160526 – 중국어 문법 이야기 ‘一点儿’과‘有点儿’ 제가 수업을 하면서 초급반 학생들이게 자주 받는 질문 중 하나가 바로 오늘의 주제 ‘一点儿’과‘有点儿’의 차이가 무엇인지에 대한 것입니다. 한글 풀이로만 보면 ‘조금, 약간’이라는 뜻으로 같아 보이기 때문이지요. 우선 아래 예문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A: 您看,这双鞋的大小怎么样? B: 这双有点儿小,有大一点儿的吗? 위 문장에서 볼 수 있듯이, ‘一点儿’과‘有点儿’은 문법상 분명히 차이가 있답니다. ‘一点儿’은 명사로 정확하지 않은 아주 적은 수량 또는 작은 정도를 나타냅니다. 단독으로 쓰일 수 있고, 직접 명사를 수식할 수 있으며, 동사나 형용사 뒤에서 보어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중국문화이야기(빨강색)-중국인은 왜 빨간색을 좋아할까?
20160517-중국문화이야기(빨강색) 중국인은 왜 빨간색을 좋아할까? 제가 처음 중국인 친구의 결혼식에 초대받아서 갔을 때의 일입니다. 작은 마을에서 온 마을 사람들이 함께하는 축제 같은 분위기였습니다. 온통 붉은 색으로 치장되어있는 혼례식장은 그야말로 흥이 넘치고 있었지요. 드디어, 기다리던 신부입장 순서였습니다. 그때, 저는 정말 큰 문화차이를 느끼고야 말았습니다. 바로, 신부의 붉은 드레스였지요. 심지어 신부의 머리장식은 물론, 양말과 신발까지 모두 빨강색이었습니다. 정말 깜짝 놀랐었지요. 그땐, 정말 중국이 참 멀게만 느껴졌던 거 같습니다. 중국인은 왜 이렇게 빨강색을 좋아하는 걸까요? 제가 자료 조사를 하면서 재미있는 관련 글을 보게 되었습니다....